Library

Home > Library > ESG Report
■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녹색 개발 협약 - G20 정상회담 선언문
작성자
이봉호
작성일
2023-09-10
조회수
265

 

 

 

 

G20 정상회담 뉴델리 선언 G20 New Delhi Leaders’ Declaration 

녹색개발협약 부문만 정리한 것입니다.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녹색 개발 협약

GREEN DEVELOPMENT PACT FOR A SUSTAINABLE FUTURE

 
 

32. 우리는 현재와 미래 세대의 번영과 웰빙이 현재의 개발 및 기타 정책 선택과 행동에 달려 있음을 인식하고, 환경적으로 지속 가능하고 포용적인 경제 성장과 발전을 통합적이고 총체적이며 균형 잡힌 방식으로 추구할 것을 결의한다.

 

33. 우리는 기후변화를 포함한 환경 위기와 도전에 대응하기 위한 우리의 행동을 긴급히 가속화할 것을 약속한다. 우리는 기후 변화의 영향이 전 세계적으로, 특히 최빈국과 소개발도상국LDCs and SIDS 등 가장 취약한 계층에 집중되고 있음을 인식하고 있다. 우리는 우리의 지도적 역할을 염두에 두고, 각기 다른 국가적 상황에 비추어 형평성과 공동의 그러나 차별화된 책임 및 각자의 역량 원칙을 반영하여 파리협정과 그 기온 목표temperature goal의 완전하고 효과적인 이행을 강화함으로써 기후변화에 대처하겠다는 UNFCCC의 목표를 추구하는 우리의 확고한 공약을 재확인한다. 우리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전 세계의 의지와 이행이 지구 평균 기온 상승을 산업화 이전 대비 2°C 이하로 억제하고, 기온 상승을 산업화 이전 대비 1.5°C로 제한하기 위한 파리협정의 온도 목표를 달성하기에는 여전히 불충분하다는 점에 우려를 표명한다. 우리는 현존하는 최고의 과학을 토대로 파리협정의 모든 핵심 요소에 대한 적극적인 행동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우리는 2°C에 비해 1.5°C의 온도 상승에서 기후변화의 영향이 훨씬 낮을 것이라는 IPCC의 평가에 주목하며, 온도 상승을 1.5°C로 제한하기 위한 추가 노력을 추구하겠다는 우리의 결의를 다시 한번 강조한다. 이를 위해서는 모든 국가가 다양한 접근 방식을 고려하여 장기적인 비전과 단기 및 중기 목표를 연계하는 명확한 국가 경로를 개발하고, 지속 가능한 개발의 맥락에서 금융과 기술, 지속 가능하고 책임 있는 소비와 생산을 중요한 원동력으로 하는 국제 협력과 지원을 통해 의미 있고 효과적인 행동과 헌신을 해야 한다. 우리는 지구 온난화를 1.5°C로 제한하기 위해서는 2030년까지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9년 수준 대비 43%까지 신속하고 심층적이며 지속적으로 감축해야 한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다. 또한 전 세계 모델링 경로와 가정을 기반으로 한 IPCC AR6 종합 보고서IPCC AR6 Synthesis Report"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은 오버슈트가 없거나 제한적인 1.5°C로 온난화를 제한하는 글로벌 모델링 경로와 온난화를 2°C로 제한하고 즉각적인 조치를 취한다고 가정하는 경로에서 2020년 사이, 늦어도 2025년 이전에 정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는 결과에 주목하고 있다. 이는 이 기간 내에 모든 국가에서 정점에 도달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정점에 도달하는 시기는 지속 가능한 개발, 빈곤 퇴치 필요성, 형평성 및 각기 다른 국가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자발적이고 상호 합의된 조건에 따른 기술 개발 및 이전, 역량 강화 및 자금 조달이 이러한 측면에서 국가를 지원할 수 있음을 인식하고 있다.

 

34. 우리는 아직 NDC(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 국가별 결정적 기여)를 파리협정의 기온 목표에 맞추지 않은 모든 국가들이 각기 다른 국가적 상황을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2023년 말까지 NDC2030년 목표를 재검토하고 강화할 것을 촉구하며, 이미 이를 이행한 국가들을 환영한다. 우리는 국가적으로 결정되는 NDC의 성격과 파리협정 제4.4조에 명시된 "선진국 당사국들은 경제 전반에 걸친 절대적 감축 목표를 수행함으로써 계속해서 주도권을 가져야 한다"는 내용을 기억하고 있다. 개발도상국 당사국들은 감축 노력을 계속 강화해야 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양한 국가 상황을 고려하여 경제 전반의 배출 감축 또는 제한 목표를 향해 나아갈 것을 권장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우리는 모든 온실가스를 포괄하는 경제 전반의 목표를 NDC에 포함시킨 국가들을 칭찬하며, 다른 국가들도 각기 다른 국가적 상황을 고려하여 향후 NDC 주기에 이러한 경제 전반의 목표를 포함할 것을 권장한다. 우리는 완화mitigation, 적응adaptation, 이행 및 지원 수단 전반에 걸쳐 강화된 기후 행동climate action을 촉진하는 두바이 COP28의 첫 번째 글로벌 재고조사global stocktake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될 수 있도록 기여할 것이다. 우리는 금세기 중반까지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 넷제로/탄소 중립carbon neutrality을 달성하겠다는 약속을 다시 한 번 강조하며, 최신 과학적 발전을 고려하고 다양한 국가 상황에 맞춰 순환 탄소 경제, 사회경제적, 기술적, 시장 개발 등 다양한 접근법을 고려하고 가장 효율적인 솔루션을 촉진할 것이다.

 

 

기후 변화와 전환transition 경로로 인한 거시경제적 리스크

Macroeconomic risks stemming from climate change and transition pathways

 

35. 기후변화의 물리적 영향에 따른 거시경제적 비용은 전체 및 국가 차원에서 모두 상당하며, 무대책의 비용은 질서 있고 정의로운 전환의 비용보다 훨씬 더 크다. 우리는 금융 및 기술 분야를 포함한 국제적 대화와 협력, 그리고 국가별 상황에 맞는 시의적절한 정책 조치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또한 기후변화의 물리적 영향과 전환 정책이 성장, 인플레이션, 실업 등 단기, 중기, 장기 거시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리는 기후 변화와 전환 경로로 인한 거시경제적 위험에 관한 G20 보고서를 지지한다. 이 보고서의 분석을 바탕으로, 우리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거시경제적 영향, 특히 재정 및 통화 정책과 관련하여 적절한 경우 추가 작업을 고려할 것이다.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한 라이프스타일 확산(LiFE)

Mainstreaming Lifestyl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LiFE)

 

36.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라이프스타일에 관한 G20 고위급 원칙에 따라, 우리는 전 세계가 지속 가능한 생산 및 소비 패턴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라이프스타일이 확산될 수 있도록 강력한 공동 행동을 취할 것을 다짐한다. 관련 연구에 따르면 2030년까지 전 세계 넷제로 미래를 위해 상당한 배출량 감축에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는 기후 행동을 위한 지속 가능한 라이프스타일을 장려할 수 있는 정책 환경 조성을 지지한다. 이를 위해 우리는

 

i.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라이프스타일에 관한 G20 고위급 원칙을 이행할 것을 약속한다.

 

ii. 국제 협력, 재정 지원, 기술 개발, 배포 및 보급을 통해 고위급 원칙(HLP)의 이행을 지원합니다. 트위터는 국제기구가 적절한 경우 HLP를 프로그램에 통합할 것을 촉구한다.

 

iii. 'LiFE를 위한 여정Travel for LiFE'의 출범에 주목하고 책임감 있고 지속 가능한 스마트한 최종성과가 창출되도록 지원한다.

 

 

세계 순환 경제 설계

Designing a Circular Economy World

 

37. 경제 성장과 환경 파괴를 분리하고 경제 성장을 지원하는 동시에 1차 자원 소비를 포함한 지속 가능한 소비와 생산을 강화하기 위해 우리는 지속 가능한 개발을 달성하는 데 있어 순환 경제circular economy, 생산자 책임producer responsibility 확대 및 자원 효율성의 중요한 역할을 인정한다. 우리는 '자원 효율성 및 순환 경제 산업 연합(RECEIC. Resource Efficiency and Circular Economy Industry Coalition)'을 출범시킨 인도 대통령단에 감사를 표한다. 우리는 환경적으로 건전한 폐기물 관리를 강화하고, 2030년까지 폐기물 발생을 크게 줄이며, 폐기물 제로 이니셔티브zero waste initiatives의 중요성을 강조할 것을 다짐한다.

 

 

깨끗하고 지속가능하며 공정하고 경제적이고 포용적인 에너지 전환 구현

Implementing Clean, Sustainable, Just, Affordable & Inclusive Energy Transitions

 

38. 우리는 강력하고 지속가능하며 균형 잡힌 포용적 성장을 가능하게 하고 기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다양한 경로를 통해 깨끗하고 지속가능하며 공정하고 저렴하고 포용적인 에너지 전energy transitions환을 가속화할 것을 약속한다. 우리는 개발도상국의 요구, 취약성, 우선순위 및 다양한 국가적 상황을 인식하고 있다. 우리는 혁신, 자발적이고 상호 합의된 기술 이전, 저비용 자금 조달을 촉진할 수 있는 강력한 국제 및 국가적 환경을 지원한다. 이를 위해 우리는

 

i. 지속 가능한 개발 및 기후 목표에 따라 증가하는 에너지 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포용적 투자를 포함하여 다양한 공급원, 공급업체 및 경로에서 에너지의 중단 없는 흐름을 유지하고, 개방적이고 경쟁적이며 비차별적이고 자유로운 국제 에너지 시장을 촉진하는 등 에너지 안보 및 시장 안정성을 강화하는 경로를 모색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ii. 개발도상국이 저탄소/배출량low carbon/emissions으로 전환하는 데 있어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을 인식하고, 개발도상국을 위한 저비용 자금 조달을 촉진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iii. 자발적이고 상호 합의된 조화로운 표준과 상호 인정되고 상호 운용 가능한 인증 체계voluntary and mutually agreed harmonising standards를 개발하여 무공해 및 저배출 기술로 생산된 수소와 암모니아와 같은 파생물에 대한 투명하고 탄력적인 글로벌 시장의 개발뿐만 아니라 생산, 활용의 가속화를 지원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우리는 모든 국가에 혜택을 주는 지속가능하고 공평한 글로벌 수소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수소 관련 G20 고위급 자발적 원칙G20 High Level Voluntary Principles on Hydrogen'을 확인한다. 우리는 국제태양에너지동맹(ISA)이 주도하는 그린수소혁신센터Green Hydrogen Innovation Centre 설립을 위한 의장단의 이니셔티브에 유념한다.

 

iv. 우리는 개발도상국, 기존 및 새롭게 부상하는 청정하고 지속가능한 에너지 기술, 그리고 에너지 전환을 지원하기 위한 저비용 금융에 대한 접근을 촉진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우리는 인도 대통령 주도로 작성된 "에너지 전환을 위한 저비용 금융Low-cost Financing for the Energy Transitions" 보고서와 1차 에너지 믹스에서 재생에너지의 높은 비중과 함께 전 세계에 연간 4조 달러 이상의 투자가 필요하다는 분석 결과를 유념한다.

 

v. 기존 목표와 정책을 통해 전 세계적으로 재생에너지 생산 능력을 3배로 늘리기 위한 노력을 추구하고 장려할 것이며, 2030년까지 국가별 상황에 맞춰 저감 및 제거 기술을 포함한 기타 무공해 및 저배출 기술에 대해서도 유사한 포부를 밝힐 것이다. 우리는 또한 '보편적 에너지 접근성 가속화를 위한 재생에너지 촉진을 위한 자발적 행동 계획Voluntary Action Plan for Promoting Renewable Energy to Accelerate Universal Energy Access'에도 주목한다.

 

vi. 깨끗하고 지속가능한 에너지 기술 및 솔루션의 개발, 실증 및 배포를 위한 협력 이니셔티브와 혁신을 위한 기타 노력을 진전시킬 것을 약속한다.

 

vii. '2030년까지 에너지 효율 개선 비율을 두 배로 늘리기 위한 자발적 행동 계획Voluntary Action Plan on Doubling the Rate of Energy Efficiency Improvement by 2030'를 유념한다.

 

viii. 탄소 배출 제로 및 저배출 개발 전략에서 지속 가능한 바이오 연료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글로벌 바이오 연료 연합Global Biofuels Alliance의 설립에 주목한다.

 

ix. 우리는 광물, 반도체, 기술 등 주요 광물 및 원자재를 포함하여 에너지 전환을 위한 안정적이고 다양하며 지속가능하고 책임 있는 공급망을 지원한다. 우리는 회장단의 "에너지 전환을 위한 중요 광물 협력을 위한 자발적 고위급 원칙Voluntary High-Level Principles for Collaboration on Critical Minerals for Energy Transitions"을 유념한다.

 

x. 민간 원자력을 사용하기로 선택한 국가들은 국내법에 따라 첨단 및 소형 모듈형 원자로(SMR)를 포함한 민간 원자력 기술의 연구, 혁신, 개발 및 배치에 있어 자발적이고 상호 합의된 조건에 따라 협력할 것이다. 이들 국가는 책임 있는 원전 해체, 방사성 폐기물 및 사용 후 연료 관리, 투자 동원을 촉진하고, 전 세계 원자력 안전을 증진하기 위한 국제 협력을 강화함으로써 지식과 모범 사례를 공유할 갓이다.

 

xi. 에너지 안보energy security를 강화하고, 경제 성장을 촉진하며, 모두를 위한 보편적 에너지 접근universal energy access을 촉진하는 데 있어 해당되는 경우, 그리드 상호연결, 탄력적인 에너지 인프라 및 지역/국경 간 전력 시스템 통합의 역할을 인식한다.

 

xii. 2009년 피츠버그에서 낭비적 소비를 조장하는 비효율적인 화석연료 보조금을 중기적으로 단계적으로 폐지하고 합리화하겠다는 약속을 이행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하는 한편, 가장 빈곤하고 가장 취약한 계층을 대상으로 한 지원을 제공하기로 약속한다.

 

xiii. 재생에너지를 포함한 청정 발전의 보급을 빠르게 확대하는 등 저공해 에너지 시스템으로의 전환을 위한 기술의 개발, 보급 및 보급과 정책 채택을 가속화하는 것이 중요함을 인식하고, 국가 상황에 따라 미감축 석탄 발전의 단계적 감축을 위한 노력을 가속화하는 등 에너지 효율 조치와 정의로운 전환을 위한 지원의 필요성을 인식한다.

 

 

 

기후 및 지속 가능성 금융 제공

Delivering on Climate and Sustainable Finance

 

39. 우리는 기후금융을 위한 자원의 적시에 적절한 동원을 지원하는 동시에 국가 상황에 맞는 전환 활동을 지원하는 메커니즘에 대한 지속가능한 금융 실무그룹(SFWG. Sustainable Finance Working Group)의 권고안을 환영한다. 우리는 또한 각기 다른 국가별 상황을 고려하여 야심찬 국가결정기여(NDC. 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s), 탄소 중립carbon neutrality, 넷제로를 달성하기 위한 적응 및 완화 노력을 균형 있게 다루기 위해 혼합 금융상품blended financial instruments, 메커니즘 및 리스크 공유 장치를 통해 필요한 민간 금융을 활용하는 등 기후 행동의 중요한 조력자로서 공공 금융의 중요한 역할을 인식하고 있다. 우리는 기후재원 동원에 있어 다자개발은행MDB의 역할 강화를 포함하여 혼합금융 및 리스크 공유 장치의 확대를 위한 SFWG의 권고를 환영한다. 우리는 개도국의 파리협정 이행을 지원하기 위해 다자 기후기금과 같은 양허재원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며, 다가오는 2024-2027년 프로그램 기간 동안 녹색기후기금Green Climate Fund의 야심찬 2차 재원보충 프로세스를 촉구한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노력을 기울일 것이다.

다자 기후 기금에 대한 접근을 촉진하고 민간 자본을 동원할 수 있는 레버리지와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한다. 우리는 온실가스 배출을 방지, 감축 및 제거하고 적응을 촉진하는 초기 단계 기술의 상용화를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인식하고, 친환경 및 저배출 기술의 신속한 개발, 실증 및 배포를 위한 민간 자금 유입을 촉진하기 위한 금융 솔루션, 정책 및 인센티브에 대한 권고에 유의한다. 우리는 적절한 경우 탄소 중립 및 넷제로를 향한 탄소 가격 및 비가격 메커니즘과 인센티브의 사용을 포함하여 재정, 시장 및 규제 메커니즘으로 구성된 정책 조합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한다.

 

40. 우리는 기후 투자에 대한 데이터 관련 장벽을 극복하기 위한 다년 G20 기술지원 행동계획(TAAP. Technical Assistance Action Plan)과 자발적 권고안을 지지한다. 우리는 관련 국가 및 이해당사자들이 각국의 상황에 맞게 TAAP를 이행할 것을 권장한다. 우리는 자발적이고 유연한 성격의 G20 지속가능금융 로드맵Sustainable Finance Roadmap의 이행 진전을 보고하기를 기대하며, 특히 전환금융 프레임워크Transition Finance Framework의 이행을 포함하여 지속가능금융을 확대하기 위한 로드맵의 권고 조치를 진전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노력을 촉구한다. 우리는 2023G20 지속가능금융 보고서Sustainable Finance Report를 기대한다. 우리는 20236월 국제지속가능성표준위원회(ISSB)가 발표한 지속가능성 및 기후 관련 공개 표준disclosure standards의 완성을 환영하며, 이는 비례성을 다루고 상호운용성을 촉진하는 메커니즘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표준을 이행할 때 국가별 상황을 고려한 유연성이 유지되는 것이 중요하다. 위와 같은 표준이 실행에 옮겨지면 전 세계적으로 비교 가능하고 신뢰할 수 있는 공시를 지원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41. 우리는 파리협정의 기후 목표를 달성하고 다양한 원천에서 전 세계적으로 투자 및 기후 재원을 수십억 달러에서 수조 달러로 신속하고 실질적으로 확대하기 위해 글로벌 투자를 늘려야 할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모든 관련 재정 흐름을 이러한 목표에 맞추는 동시에 개발도상국의 우선순위와 필요를 고려하여 자발적이고 상호 합의된 조건에 따라 재정, 역량 강화 및 기술 이전을 확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우리는

 

i. 개발도상국, 특히 개발도상국의 NDC 이행에 필요한 2030년 이전 기간 동안 58000~59000억 달러가 필요하며, 2050년까지 순배출량 제로를 달성하기 위해 2030년까지 청정 에너지 기술에 매년 4조 달러가 필요하다는 점에 유념한다.

 

ii. 우리는 의미 있는 감축행동과 이행의 투명성 측면에서 개발도상국의 필요를 해결하기 위해 2020년까지 매년 1,000억 달러, 2025년까지 매년 1,000억 달러의 기후재원을 공동으로 동원하겠다는 선진국들의 2010년 약속을 상기하고 재확인한다. 선진국 기여자들은 이 목표가 2023년에 처음으로 달성될 것으로 기대한다.

 

iii. 우리는 기후변화의 부정적 영향에 특히 취약한 개발도상국을 지원하기 위한 손실과 피해에 대응하기 위한 기금 마련에 대한 COP27의 결정을 성공적으로 이행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며, 여기에는 기금 설립이 포함된다. 우리는 이와 관련하여 설립된 과도기위원회를 지원할 것이며, COP28에서 기금 설립을 포함한 새로운 재원 마련 방안의 운영에 관한 권고안을 기대한다.

 

iv. 당사국들이 유엔기후변화협약의 목표와 파리협정 이행에 있어 개도국의 필요와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2024년 기후재원에 대한 야심차고 투명하며 추적 가능한 새로운 집단적 정량화 목표(NCQG. New Collective Quantified Goal)를 연간 1천억 달러의 한도 내에서 설정할 것을 촉구한다.

 

v. 글래스고 기후협약 18항을 상기하며, 우리는 선진국들이 재원 확충을 달성하는 맥락에서 2025년까지 2019년 수준에서 적응 재원을 두 배 이상 제공하겠다는 약속을 이행할 것을 촉구한다.

 

vi. 다자개발은행과 다자간 기금 등 모든 관련 금융기관이 야심찬 적응 재원 목표를 설정하고, 적절한 경우 2025년 전망치를 수정 및 강화하여 발표하는 등 노력을 더욱 강화할 것을 촉구한다.

 

vii. 공공 기후금융을 보완하는 데 있어 민간 기후금융의 중요한 역할을 인정하고 개발도상국 프로젝트를 위한 혼합금융, 위험 제거 수단, 녹색채권과 같은 금융 메커니즘의 개발을 장려한다.

 

 

 

생태계 보존, 보호, 지속 가능한 이용 및 복원

Conserving, Protecting, Sustainably Using and Restoring Ecosystems

 

42. 우리는 기후 변화, 생물 다양성 손실, 사막화, 가뭄, 토지 황폐화, 오염, 식량 불안정,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건강한 생태계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우리는 2030년까지 훼손된 생태계의 최소 30%를 복원하고 토지 황폐화 중립land degradation neutrality을 달성하기 위한 노력을 확대할 것을 약속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우리는

 

i. 쿤밍-몬트리올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GBF. Kunming-Montreal Global Biodiversity Framework)의 신속하고 완전하며 효과적인 이행을 약속하고, 다른 국가들도 같은 조치를 취하도록 독려하며, 2030년까지 생물다양성 손실을 중단하고 되돌리기 위한 조치를 장려한다. 또한 모든 출처에서 재원을 강화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 이를 위해 우리는 최근 지구환경기구(GEF. Global Environment Facility) 내에 글로벌 생물다양성 프레임워크 기금Global Biodiversity Framework Fund 이 설립된 것을 환영한다.

 

ii. G20 글로벌 토지 이니셔티브(GLI. Global Land Initiative)에서 약속한 대로 2040년까지 자발적으로 토지 황폐화를 50% 줄이겠다는 G20의 공약을 지지하며, 간디나가르 이행 로드맵Gandhinagar Implementation Roadmap 과 간디나가르 정보 플랫폼에 대한 논의에 주목한다.

 

iii. 산림은 환경, 기후, 사람을 위해 전 지구적 및 지역적 차원에서 중요한 생태계 서비스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흡수원 역할을 하는 기후 목적에도 중요하다는 점을 인식한다. 우리는 국제적으로 합의된 일정에 따라 산림을 보호, 보전, 지속 가능하게 관리하고 삼림 벌채를 방지하기 위한 노력을 확대하며, 이러한 행동이 지속 가능한 발전에 기여하는 바를 강조하고 지역 사회와 원주민의 사회적, 경제적 과제를 고려한다. 산림과 관련해서는 세계무역기구(WTO) 규정과 다자간 환경 협정에 따라 차별적인 녹색 경제 정책discriminatory green economic policies을 지양할 것이다. 우리는 특히 개발도상국을 위한 양허성 및 혁신적 금융concessional and innovative financing을 포함하여 모든 출처에서 산림을 위한 신규 및 추가 재원을 동원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다. 우리는 산불을 예방 및 완화하고 채광으로 황폐화된 토지를 복구하기 위해 노력한다.

 

v. 우리는 물에 대한 글로벌 협력 강화와 모범 사례 공유를 촉구하며, 유엔 2023 물 회의 및 G20 물 대화Dialogue on Wate에서의 논의를 환영한다.

 

 

해양 기반 경제의 활용 및 보존

Harnessing and Preserving the Ocean-based Economy

 

43. 우리는 전 세계 해양과 해양 생태계를 보존, 보호, 복원 및 지속 가능한 이용을 위해 노력하며, 이와 관련하여 진전을 이루고 2025년 유엔 해양 회의UN Ocean Conference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이를 위해 우리는

 

i. 지속가능하고 회복력 있는 블루/해양 기반 경제Blue/Ocean-based Economy를 위한 첸나이 고위급 원칙Chennai High-Level Principles을 환영한다.

 

ii. 국가 관할권을 벗어난 해양 생물 다양성(BBNJ. marine Biological diversity of areas Beyond National Jurisdiction)의 보전과 지속 가능한 이용에 관한 유엔해양법협약(UNCLOS)에 따른 새로운 국제 법적 구속력 있는 기구의 채택을 주목하고 모든 국가가 조속히 발효 및 이행할 것을 촉구한다.

 

iii. 남극조약 체제 내 남극해양생물자원보존위원회(CCAMLR)가 가용한 최선의 과학적 증거를 바탕으로 남극조약 협약 지역에 대표적인 해양보호구역(MPA)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iv. 국제법에 따라 불법, 비보고, 비규제(IUU) 어업과 파괴적인 어업 방법을 근절하기 위한 우리의 약속을 재차 강조한다.

 

v. 이 의제를 달성하기 위한 진전을 이루기 위해 '오션 20 다이얼로그'의 역할을 지지한다.

 

 

플라스틱 오염 근절

Ending Plastic Pollution

 

44. 우리는 플라스틱 오염을 종식시키기로 결의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우리는 2024년 말까지 해양 환경을 포함한 플라스틱 오염에 대한 국제적 법적 구속력이 있는 수단을 개발하기 위해 정부 간 협상위원회(INC)를 설립하고, 2024년 말까지 작업을 완료하겠다는 야심찬 목표를 세운 결의안 UNEP/EA.5/Res.14를 환영한다. 또한 '오사카 블루오션 비전Osaka Blue Ocean Vision'에 명시된 G20 해양 쓰레기 행동 계획Marine Litter Action Plan에 따라 행동할 것이다.

 

 

 

 

미래의 도시에 대한 금융 지원

Financing Cities of Tomorrow

 

45. 우리는 포용적이고 회복력 있으며 지속가능한 미래의 도시를 만들기 위한 노력에서 재정의 동원 강화와 기존 자원의 효율적 사용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를 위해 우리는 자발적이고 구속력이 없는 G20 미래도시 재원조달 원칙과 재원조달 전략을 제공하고 혁신적인 도시 계획 및 재원조달 모델에 대한 개요를 제시하는 G20/OECD 미래도시 재원조달 보고서를 지지한다. 우리는 개발금융기관과 다자개발은행을 포함한 이해당사자들이 해당되는 경우 도시 인프라 계획 및 재원 조달에 이러한 원칙을 활용할 수 있는 잠재력을 모색하고 초기 시범 사례의 경험을 공유할 것을 권장한다. 우리는 포용적 도시를 가능하게 하는 요소에 대한 개괄적 설명의 진전에 주목한다. 우리는 또한 지방정부가 공공서비스의 효과적인 제공을 위한 전반적인 제도적 역량을 평가하고 강화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맞춤형 G20/ADB 도시행정 역량강화 프레임워크Framework on Capacity Building of Urban Administration에 주목한다. 우리는 자발적이고 구속력이 없는 양질의 인프라 투자(QII) 지표의 지속적인 시범 적용에 주목하며, 국가별 상황을 고려하여 이 지표의 적용에 대한 추가 논의를 기대한다.

 

 

 

재해 위험 감소 및 회복 탄력적인 인프라 구축

Reducing Disaster Risk and Building Resilient Infrastructure

 

46. 올해 G20 의장단은 유엔총회 결의안 77/289에 명시된 바와 같이 재난위험경감(DRR. Disaster Risk Reduction) 실무그룹을 제도화함으로써 G20의 재난위험경감에 대한 노력을 촉진해왔다. 우리는 재난위험경감을 위한 센다이 프레임워크(SFDRR. Sendai Framework for Disaster Risk Reduction)를 재확인하고 그 완전한 이행을 가속화할 필요성을 인식한다. 이를 위해 우리는

 

i. 국가 및 지역 역량 강화, 혁신적인 자금 조달 도구, 민간 부문 투자 및 지식 공유를 통해 조기 경보 및 조기 조치에 대한 진전을 가속화 할 것을 촉구한다.

 

ii. 인프라 시스템의 재난 및 기후 복원력 증진을 위해 신흥 경제국, 특히 개발도상국, 저개발국 및 소규모 개발도상국을 포함한 모든 국가의 역량 강화를 계속 지원한다. 우리는 재해복원력DRR을 위한 글로벌 플랫폼을 환영하며, 이러한 협력과 공유를 촉진하기 위한 재해복원력 인프라 연합(CDRI. Coalition for Disaster Resilient Infrastructure)과 같은 이니셔티브에 주목한다.

 

iii. 센다이 프레임워크의 모든 원칙을 적용한 복구 경험에 대한 상호 학습을 장려한다.

 

 

 

[ 원문 보기 ]